근무조, 근무유형, 근무시간표등 근무형태에 따른 상세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1. 근무시간표 관리
8~10시 출근, 3교대 생산직, 선택근무등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근무조와 근무시간표를 직접 구성하는 화면 입니다.
① 등록된 근무시간표 리스트를 확인
② 선택된 근무시간표의 기본 정보를 설정
③ 선택된 근무시간표이 상세한 시간테이블 구성
근무시간표의 기본정보를 설정하는 레이어 입니다.
① 기본, 스케줄, 탄력, 선택 등 원하는 근무제를 선택
•
기본 : 8시~17시, 9시~18시 등과 같은 일반 근무제
•
스케줄 : 조간, 석간, 야간등으로 구성되는 2교대, 3교대 스케줄
•
탄력/선택 : 1주~최대 6개월까지 특정 시작일을 기준으로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구성하는 방식 (
근무유형관리 화면에서 추가 안내)
② 시간표 명을 지정
③ 해당 근무시간표에 하루 시작시간을 등록
④ 하단 근무시간표 구성에 따라 기본근무시간 자동 지정
•
선택근무의 경우에만 필수근무시간으로 지정하여 사용
⑤ 근무 종료시간이 다음날일 경우 선택
⑥ 해당 근무시간표가 휴일에 해당할 경우 선택
⑦ 공휴시 근무시간을 적용할 근무종류를 선택
근무시간표의 상세 타임 테이블을 구성하는 레이어 입니다.
① 근무코드와 근무시간대 및 순서를 지정
② 해당 근무코드에 최소인정을 지정
•
근무 시작~종료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근무의 경우에만 의미가 있으며 일반적인 케이스에서는 30분 혹은 1시간 단위로 지정해도 무방
Ex. 기본근무 15:00~16:00 에서 최소인정시간을 30분 지정했을 경우
→ 29분 기본근무를 했으면 인정시간 미적용
→ 31분 기본근무를 했으면 인정시간(분) 으로 적용
③ 해당 근무코드에 최소 인정단위를 분으로 지정
Ex. 인정단위가 30분일 경우
→ 29분 연장근무 하면 0분
→ 31분 연장근무하면 30분 인정
24시간 상세 설정에 등록된 시간표로 기본근무, 연장근무, 야간근무등이 연계되어 근무데이터가 생성됩니다.
2. 근무유형 관리
근무시간표에서 등록한 시간표를 토대로 근무유형을 그룹화 하고 근무관련 상세설정 및 근무패턴을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① 등록한 근무유형 종류를 확인
② 근무유형 명칭을 관리하고 기본, 스케줄, 탄력, 선택 등 원하는 근무제를 선택
•
기본 : 8시~17시, 9시~18시 등과 같은 일반 근무제
•
스케줄 : 조간, 석간, 야간등으로 구성되는 2교대, 3교대 스케줄
•
탄력/선택 : 1주~최대 6개월까지 특정 시작일을 기준으로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구성하는 방식
③ 근무관련 기본, 상세, 근무패턴을 순서대로 세팅
④ ③ 설정탭에 대한 상세 내용 세팅
근무유형별 기본설정을 하는 탭 입니다.
① 기본근무시 휴게시간 옵션 설정
•
시간 입력, 근무시간표에 등록된 휴게시간 옵션 별 구성
<일 기본근무 휴게시간 옵션>
② 연장근무시 휴게시간 적용 설정
③ 연장근무시 휴게시간 계산 방식 방식 옵션 설정
•
H시간 근무시 휴게시간을 차감 or 부여할지에 대한 옵션 별 계산 예시 안내
<휴게시간 차감 옵션 1>
<휴게시간 차감 옵션 2>
<휴게시간 부여 옵션 >
첨부된 예시에서 18:00~22:30 일 경우는 기본근무 4시간, 휴게시간 30분으로 동일하게 구성됩니다.
사전에 세팅한 인정 단위가 다를 경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④ 기준시간 이상 근무시 분단위 휴게시간 설정
⑤ 휴일근무시 휴일연장근무 초과시간 기준을 설정
근무유형별 상세설정을 하는 탭 입니다.
① 출퇴근 타각이 별도 없을경우
근무시간표관리 에 등록된 시작, 종료시간으로 자동 반영
② 기준 출/퇴근 시간으로 지각 및 조퇴를 자동 판정
③ 기본, 연장근무에 대한 한도 시간 설정
•
일 근무시간 한도 : 일 기준으로 기본 + 연장 근무 시간을 포함한 한도 기준 (’주’ 단위도 동일 기준)
근무유형별 근무 패턴을 설정을 하는 탭 입니다.
① 1주부터 4주, 1개월부터 6개월까지의 근무 주기와 해당 근무패턴이 적용될 시작일자를 선택
②
근무시간표관리 에서 등록한 해당 근무제가 동일한 근무시간표를 드래그&드랍으로 근무 캘린더로 구성
③ 반복되는 주에 대한 행 추가 및 삭제
같은 근무제로 구성되어있는 근무시간표를 근무 패턴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3. 연장근무보상기준
연장근무, 휴일근무등에 대한 보상기준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① 연장근무를 수당 혹은 시간으로 보상할지를 선택
② 휴일근무에 대한 보상기준을 선택
•
휴일근무 보상 : 수당, 대체휴가, 시간 중 보상기준을 선택
•
대체휴가를 사용할 경우 휴일 근무일 기준으로 언제까지 사용하게 할지 사용기한을 설정
•
대체휴가를 사용할 경우 휴일연장근무 신청시 자동으로 대체휴가를 지정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해당 대체휴가의 결재처리 상태를 어떻게 할지 선택
③ 대체휴가 사용시 기준시간만 사용할 수 있게 할지 선택
④ 보상시간이 발생할 경우 사용기한과 보상비율을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