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관리하는 각종 수당, 공제를 구성하고 각 수당의 상세 요건 및 계산식등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수당별 명칭부터 계산방법, 과세기준과 고용보험 적용여부등 다양한 세팅을 할 수 있으며 최초에 구성한 이후에는 발령과 근태신청들만 잘 이루어지면 자동 연계되어 계산됩니다.
1. 수당, 공제 항목관리
급여를 구성하는 수당, 공제, 기타기준등 기본 항목들을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① 기준일자와 명칭을 토대로 수당 및 공제 검색
② 수당, 공제, 기타기준등을 탭으로 구성
③ 추가 수당/공제가 있을 경우 추가 및 복사 혹은 저장
급여 수당을 관리하고 명칭, 순서, 절상사, 계산식등을 구성하는 화면입니다.
① 급여코드와 명칭, REPORT명을 관리
•
코드 : 사번, 조직코드와 비슷한 개념으로 수당 고유의 코드값 지정
•
항목명 : 관리자 관점에서의 수당명
•
Report명 : 임직원들의 급여조회 화면, 명세서등에 표기되는 명칭
② 계산순위와 출력순서
•
계산순위 : 수당들의 사칙연산으로 계산식이 구성될 경우의 계산순서
(ex. OT수당의 계산식이 ‘기본급 / 209 * 25’ 라면 계산순서는 기본급이 먼저여야함)
•
출력순서 : 임직원 혹은 각종 자료출력에 나오는 순서
③ 절상사 기준
•
구분 : 절사, 절상, 반올림
•
단위 : 0.00001 ~ 10000 단위
ex) 333,333원에 절사, 1단위 ⇒ 33,333
333,333원에 절사, 10단위 ⇒ 33,330
333,333원에 절상, 10단위 ⇒ 33,340
④ 계산방법 구성
•
급여테이블 : 직급별 호봉베이스 관리를 필요할 경우 선택하며
급여관리 > 개인급여관리 > 급여테이블관리 화면에서 관리
•
연봉구성 : 개인별 연봉베이스 관리를 필요할 경우 선택하며
급여관리 > 개인급여관리 > 개인별연봉관리 화면에서 관리
•
계산식 : 발령과 연계되는 직책수당들과 같은 경우 선택하며 오른쪽 돋보기 버튼 클릭하여 계산식 구성
•
개인별 : 별도의 계산식을 존재하지 않으며 추후 일괄업로드 혹은 예외처리하기 위한 항목
⑤ 수당 계산시에는 필요하나 최종 결과 값으로는 필요없을 경우 계산 후 삭제 체크
⑥ 해당 수당코드에 시작, 종료일자를 기입 (같은 항목코드의 경우 겹치는 일자가 존재하지 않도록 유의)
ex) 같은 기본급이지만 명칭만 2023년 1월1일부터 바뀌었을 경우
코드 : 110, 명칭 : 기초급, 시작일자 : 2001-01-01 , 종료일자 : 2022-12-31 으로 변경하고
코드 : 110, 명칭 : 기본급, 시작일자 : 2023-01-01 , 종료일자 : 9999-12-31 으로 신규 생성
계산방법이 계산식일 경우 호출하는 팝업으로 원하는 대상자와 계산식을 사칙연산 형태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① 지급대상자를 선택하거나 원하는 기준에 대상자 요건을 추가하는 팝업 호출
② 상수값을 직접 작성하거나 원하는 수당, 공제, 함수등을 클릭하여 사칙연산의 형태로 다양하게 계산식을 구성
ex) 직책수당 : 상수 200000 직접 기입
연장근무 수당 : [G:통상임금] / 209 * 1.5 * [F:연장근무시간] 형태로 구성 (수당 및 그룹함수 클릭하여 구성)
③ 수당, 공제, 그룹-함수 집합을 선택하여 해당하는 항목들을 클릭하면 계산식에 이동
④ 수당들을 이용한 수당계산식일 경우 일할계산 적용을 사용상태로 놓고 수당 등록
ex) 직무수당이 기본급(100만원) X 0.2 일 경우
1) 한달 만근이여서 기본급 자체에 일할계산 없이 100만원 X 0.2 로 50만원으로 계산
2) 15일 중도 입사라 기본급이 일할계산되어 50만원 X 0.2 로 25만원으로 계산 <해당 경우에 기본급 클릭하기전에 일할계산 적용 활성화 하여 기본급 클릭>
직접 숫자 기입 및 클릭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그룹G, 함수F 에 경우
1) 통상임금, 고용보험 여부가 체크되어있는 수당들의 집합을 하나의 묶음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 근태/근무에서 집계된 연장근무시간, 휴일근무 시간등을 연계하여 계산식을 구성하거나
3) 복리후생에서 발생된 금액을 연계시킬때
급여계산식을 타 모듈과 연계하거나 편하게 작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하시면 좋으며 혹시나 추가로 별도 함수가 필요하실 경우 WORKUP 유지보수 담당자에게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지급대상자 설정 팝업으로 해당대상자의 기준들을 WORKUP 발령등과 연계하여 매칭하도록 하는 화면입니다.
① 대상자 기준의 그룹명을 관리
② 발령과 연계되는 직위, 직책, 사원구분등과 같은 기준을 선택
③ ②에서 선택한 각 항목별 상세 조건을 =, 포함, 불포함 의 요건을 선택하여 매칭
급여 수당을 관리하고 명칭, 순서, 절상사, 계산식등을 구성하는 화면입니다.
① 수습적용률을 적용할 수당에 대해 비율 설정
② 차량보조비과세, 식대비과세등 법정 비과세 항목 설정
•
법적 비과세 항목은 시스템 코드로 등록되어있으며 그대로 사용하시면 과세한도 이상금액은 자동 비과세 처리
③ 통상임금, 평균임금, 고용보험 대상 수당 체크
④ 채용일할계산
•
일할계산방식 : 근무일/해당월일수, 근무일/30일수 선택
•
만근인정일 : 일할계산 하지 않을 만근 인정일 설정
⑤ 퇴직일할계산
•
일할계산방식 : 근무일/해당월일수, 근무일/30일수 선택
•
만근인정일 : 일할계산 하지 않을 만근 인정일 설정
•
퇴사일포함 : 퇴사일까지 근무일로 포함할지 말지를 선택
공제 탭도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며 기타기준은 내부 관리를 요한 부분이라 특이사항 없을경우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2. 발령, 근태에 따른 지급율 관리
급여종류, 발령종류와 연계되는 급여 지급율을 관리하는 화면 입니다.
① 지급율 관리가 필요한 발령을 추가하는 팝업 호출
② 해당 지급율이 적용될 수당들을 세팅
③ 작업한 내용을 세부내역 팝업으로 확인
발령에 따른 지급율과 계산 방식을 설정하는 팝업입니다.
① 적용할 급여구분(종류)를 선택
•
급여종류는
급여관리 > 급여기준관리 > 급여코드관리 화면에서 추가 및 관리
② 적용할 발령종류를 선택
•
발령종류는
인사/조직 > 발령정보 > 기본설정 > 발령항목관리 화면에서 추가 및 관리
③ 일할계산 방식을 구성
•
분모를 월에 변경되는 일수(2월 28일, 3월 31일, 4월 30일등) 혹은 30 고정 중 선택
④ 지급률 및 발령적용기간을 등록
수당설정 팝업으로 해당 지급율 계산을 적용시킬 수당을 등록합니다.
근태 탭도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며 발령처럼 지급율에 대한 근태를 등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3. 급여코드(종류) 관리
정규급여, 상여, 성과급등 급여종류를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① 급여코드와 급여명칭을 관리
② 급여, 상여, 퇴직금등 급여구분을 설정
•
해당 설정에 따라 연말/퇴직정산시에 총급여생성시 급여, 상여, 인정상여등으로 구성
③ 지급월, 지급일자, 계좌구분등을 설정
④ 고용보험 적용 여부 선택
⑤ 퇴직금 계산시 평균임금 대상 여부 선택
⑥ 해당 급여코드(종류)에 포함될 수당과 공제항목들을 등록하는 팝업 호출
⑦ 해당 급여코드(종류)에 대상이될 대상자 기준을 설정하는 팝업 호출
⑧ 연말/퇴직정산시에 총급여생성시 포함 여부를 선택
⑨ 국외근로 비과세 대상이 되는 급여종류 여부를 선택
해당 급여코드(종류)에 포함될 수당과 공제항목들을 선택 후 등록하는 화면입니다.
해당 급여코드(종류)에 포함될 급여대상자를 설정하는 화면으로 계산식 대상자 그룹 설정과 동일합니다.
4. 급여명세서(계산방법) 설정
등록한 수당,공제 항목들에 대한 급여명세서(계산방법)를 설정합니다.
① 검색할 기준년월을 선택
② 통상임금 표기여부를 선택
③ 통상시급 표기여부를 선택
•
통상시급 = 통상임금/소정근로시간
④ 소정근로일과 소정근로시간을 기입 및 저장
⑤ 시작일자 일괄변경을 원할 경우 변경 (⑩ 선택 체크박스 적용 후 변경버튼)
⑥ 세팅 및 등록한 수당/공제 정보를 불러오기
⑦ 급여명세서의 표기될 계산 방법 내용
•
필요시 ‘변경’ 컬럼에 추가 텍스트 작성
⑧ 임금명세 내용을 표기할지 선택
⑨ 해당 내용을 조회할 시작, 종료월 지정
⑩ ⑤ 시작일자 일괄 변경을 할 경우 체크
등록한 수당,공제 항목들에 대한 명세서(계산방법) 중 개인별 예외처리 하는 화면입니다.
기존 기능과 동일하며 계산방법관리 적용 이후 별도 예외 인원이 있을 경우 사용합니다.
5. 급여명세서(근태/근무) 설정
급여명세서에 근무내역을 어떤식으로 표기할지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① 개인별 근무유형을 선택
② 실제 근무했던 근무 종류를 선택
③ 임직원들에게 표기할 근무명을 등록
④ 표기방식을 선택
•
직접입력 : 직접입력한 시간을 근무 내역에 표기
•
실근무(근태/근무집계) :
근태관리 > 근태/근무집계 > 근태/근무집계 화면에서 집계한 실 집계 시간을 표기
⑤ 사용할 시작 및 종료월을 등록
⑥ ④번 표기방식이 직접입력일 경우 임직원에게 보여줄 시간 직접 입력
⑦ 임직원들에게 해당 내역을 보이게 할지 유무를 선택
⑧ 조회순서
개별적으로 근무내역을 별도 표기할 인원들에 대해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① 개별적으로 별도 표기할 인원들을 등록
② 표기할 근무명을 대상자별 직접 입력
급여명세서 표기
임직원들이 본인의 급여내역을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급여 항목별 계산식과 급무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급여명세서 팝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