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근태] 단축근무 및 휴가 이월 관리

단축근무대상자를 지정하고 연차 계산 및 이월을 관리합니다.

1. 휴가내역관리

근태관리 > 휴가관리 > 휴가내역관리
기존 연차 내역 관리에서 추가로 단축근무 대상자 여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2. 단축근무 휴가관리

근태관리 > 휴가관리 > 단축근무휴가관리
단축근무 대상자들의 연차계산하고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① 단축근무전 연차내역을 확인
연차 하루를 8시간으로 산정하여 시간 환산
② 단축근무를 적용하여 갱신 될 연차를 관리
단축근무전 잔여연차 X 8시간 ⇒ 단축근무 잔여연차 X 단축근무시간
③ 단축근무 종료시기에 연차내역을 관리
단축근무중 환산한 시간을 다시 8시간으로 나눠서 총 일수를 계산
④ 선택된 대상자의 단축휴가를 생성
⑤ 선택된 대상자의 단축휴가를 생성
[샘플 예시]
1) 차태현 : 2024-01-01~2024-05-31 까지 일반근무 (하루 기본 근무시간 8시간)
잔여 연차 15개 → 기본 근무시간 8시간을 곱하면 환산한 총 시간은 15 X 8 = 120 시간
2) 차태현 : 2024-06-01~2024-12-31 까지 단축근무 (하루 기본 근무시간 6시간)
기존 120시간을 하루 기본 근무시간인 6으로 나누면 120/6 → 20일의 연차 발생
3) 차태현 : 2025-01-01~2025-12-31 까지 일반근무 (하루 기본 근무시간 8시간)
120시간을 다시 기본 근무 8시간으로 나누면 120/8 → 15일의 연차 발생
발생일수가 소수점이 나오면 0.25 단위로 올림처리 됩니다. (ex. 17.11 -> 17.25개 / 17.35 -> 17.5개 / 17.55 -> 17.75개 / 17.83 -> 18개)

3. 휴가이월관리

근태관리 > 휴가관리 > 휴가이월관리
① 이월할 연차종류와 사용 시작, 종료일을 등록
② 일괄로 이월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팝업 호출
② 자료일괄입력 - 팝업
발생한 연차를 이월하거나 다른 유형의 근태로 이월하고 관리하는 화면입니다.
① 일괄로 적용할 연차 종류를 선택
② 일괄로 적용할 연차의 시작, 종료일을 선택
③ 일괄생성할 비고 내용을 작성
이월기능은 연차가 아닌 보상휴가, 이월휴가와 같은 다른 형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