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

1. 퇴직금 기준 설정하기

회사에서 퇴직금 계산 방법들을 설정합니다.
급여, 상여, 연차의 정의와 평균임금의 계산방법등 옵션을 통해 계산식을 구성합니다.

1-1. 퇴직금계산식 설정

급여관리 > 퇴직금 > 퇴직금계산식
퇴직금 계산방법을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① 퇴직금, 퇴직금 중간정산, 퇴직추계, DC형계산 4가지 퇴직금 종류를 설정
② 퇴직금 계산시 발생한 급여를 급여, 상여, 연차수당 으로 구성하는 팝업을 호출
③ 각 계산식별 자릿수기준에 대한 올림, 버림 방법을 선택
④ 3개월임금총액/3 or 일평균임금 X 3 중 월평균임금 계산방식을 선택
⑤ 근속기간을 일수 or 월수 중 선택
⑥ 퇴사일까지 근무일로 포함할지 여부를 선택
급여 항목확인 - 팝업
발생한 급여내역중 ‘급여’로 계산할 수당을 체크하는 팝업입니다.
상여금 항목관리, 연차수당 항목관리도 같은 기능을 하는 팝업입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퇴직추계는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며 DC의 경우 수당들의 합/12 입니다.

4-2. 퇴직기준 설정하기

급여관리 > 퇴직금 > 퇴직금기준관리 - 퇴직연금유형관리 탭
개인별 퇴직연금(DC,DB) 종류를 관리하는 화면 입니다.
① 개인별 퇴직연금종류와 시작, 종료일을 등록
DB : 별도 등록이 없어도 기본은 DB로 계산
DC : 퇴직금계산식 DC 형태로 계산
급여관리 > 퇴직금 > 퇴직금기준관리 - 퇴직기산일자관리 탭
개인별 퇴직 중간정산일을 등록하는 화면입니다.
① 개인별 퇴직중간정산일을 등록
중간정산, DC전환, 사간전보등의 이유로 퇴직 기산일을 변경하고 싶을경우에도 사용
ex) 중간정산일을 2022-12-31로 등록할 경우 그 직원은 다음날인 2023-01-01 로 새로운 퇴직기산일로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