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수당이나 공제 항목을 추가할 수 있나요?
각 수당별 계산식도 원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세한 계산식 세팅은 매뉴얼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급여항목명이랑 Report명 차이가 뭔가요?
인사 담당자 분들이 보는 대부분 화면에서는 항목명으로 계산된 수당/공제 내역들이 조회될 것이며 실제 임직원들이 보는 화면에서는 Report명으로 조회됩니다.
급여 항목관리에서 계산후삭제는 뭔가요?
특정 A수당에 계산식이 [B수당 + C수당] 일 때 C수당은 실제 지급되지 않는 수당이고 계산에 사용되는 케이스 일때 계산후삭제로 넣으면 됩니다.
수습기간을 적용한 급여계산도 가능한가요?
입사, 퇴사외에 휴직, 산전후휴가와 같은 일할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국외근로비과세 적용이 가능한가요?
국외근로 비과세 적용은 크게 2가지로 제공합니다.
1.
특정 수당에 국외근로 비과세 처리
•
2.
총 급여에서 한도만큼만 비과세 처리
중소기업취업자 감면은 어떻게 하나요?
ex. 중소기업 80% 감면 적용을 하고 싶을 경우에, 세금예외관리에서 비율을 20%로 설정
통상임금, 평균임금, 고용보험 대상은 어떻게 구성하나요?
차량, 식대 비과세등도 계산되나요?
법적 기준에 맞는 비과세 한도를 따라 식대(비과세)와 식대(과세) 수당 2개를 나눠줘서 자동 계산이 됩니다.
세금계산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근로소득간이세액표 기준으로 계산되며 과세금액과 부양가족에 구간은
급여관리 > 급여기준관리> 간이세액표관리 화면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해당 정보는 법이 개정되면 자동으로 패치하여 적용됩니다.
정규 월급여외에 명절상여나 성과급과 같은 추가 급여종류도 등록할 수 있나요?
급여명세서 교부 내용도 적용할 수 있나요?
급여명세서 교부 내용에 근무시간들도 추가할 수 있나요?
직원에 은행계좌는 어디서 관리하나요?
임직원들이 인사기본에서 계좌변경 신청을 통해서 관리를 할 수도 있습니다.
4대보험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업로드된 내용은 그 밑에
4대보헙업관리 화면에서 개인별 마스터 형태로 생성되며 대부분 고정금액이라 변동대상자만 관리하고 싶다고 하면 해당 화면에서 대상자만 상태 값 및 보수월액등을 변경하여 관리하시면 됩니다.
보수월액과 보험료 금액이 둘 다 저장되어 있을 경우 보험료로 계산되며
보험료를 공란으로 넣으시면 보수월액 금액에서 자동 요율 계산하여 반영됩니다.
4대보험 미적용 대상자의 경우 불입상태를 ‘공제제외’ 로 구성하시면 됩니다.
개인별 연봉성 자료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해가 바뀌거나 계약된 연봉이 변경될 경우 해당 화면에서 기존 자료는 종료일자를 넣고 추가로 변경 및 관리해주시면 됩니다.
급여 예외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매월 발생하는 예외처리는 실제 급여계산 하는 화면인
급여관리 > 월급여관리> 급여계산 - 급여계산 탭 에서 예외처리 팝업을 통해 대상자의 수당과 금액을 넣으면 됩니다.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예외처리는
급여관리 > 개인급여관리> 항목별예외처리관리 에서 대상자의 수당과 금액을 적용 기간을 두어 등록하면 됩니다.
단, 시스템코드로 제공하는 공제항목들은 항목별예외처리가 아닌 급여계산에서 예외처리해주시기 바랍니다.
본인의 급여내역을 보는 화면은 어디인가요?
또는, 모바일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급여내역을 일괄 업로드 반영은 어떻게 하나요?
같은 급여종류와 귀속년월, 대상자와 지급일자까지 같은 건이 2개이상 있을 수 없으니 해당건은 합산하여 작성 및 업로드해주시기 바랍니다.